[미술,영화,사진작품]

영화 "피아니스트"/ Movie "The Pianist

scholle 2010. 1. 19. 05:34
Movie "The Pianist"영화 "피아니스트" 쇼팽/Frdric Franois Chopin [1810∼1849] 2002 년 칸느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감동의 대작 Andante Spianato /Piano: Artur Rubinstein 인류사 최대의 비극으로 기억되고 있는
2차 세계대전 1939년 독일군이 폴란드 바르샤바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전쟁에 가장 참혹한 비극이 바로 유태인 대학살(홀로코스트)입니다. 나치가 정권을 잡은 1933년부터 2차대전 종결까지 유럽에 살던 유대인 80%인 575만 명이 학살당하였으니 인류 사회 문화에 치유하기 힘든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영화 [피아니스트]는 전쟁 영웅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저명한 피아니스트에서 간신히 삶을 연명하는 처절한 한 인간으로... 그러나 마침내 살아남아 다시 피아노 앞에 선 한 남자의 극적인 삶은 ... 그자체가 바로 드라마요 영웅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 영화는 유태계 폴란드인이자 유명한 피아니스트인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같은 유태계 폴란드인 감독 [로만 폴란스키]가 만든 역작입니다. 로만 폴란스키는 유년 시절 나치의 유태인 학살 현장에 있었던 직접 피해 당사자였다고 합니다. 어머니를 가스실에서 잃은 폴란스키는 이런 뼈아픈 경험 때문에 스필버그가 [쉰들러 리스트]의 연출을 직접 제안했지만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며 거절합니다. 그러나 폴란스키는 스필만의 회고록을 발견하자 이것이야말로 그가 평생을 기다렸던 작품임을 깨닫고 대작 [피아니스트]라는 영화로 만들어 냅니다. 그는 이 영화에서 개인적 감상주의나 신파로 물들여 관객에게 호소하지 않고 살아 남기 위해 비굴할 정도로 변할 수밖에 없는 주인공의 초라한 모습에 이르기까지 냉정할 정도로 담담한 시선으로 역사와 광기, 예술과 인간애를 그려냅니다. 위대한 피아니스트 인류 역사상 가장 감동적이고도 가장 위대한 선율이 울려 퍼진다. 전쟁도, 공포도, 허기도, 죽음도 끝끝내 앗아가지 못한것이 있다. 그것은 결국에는 지켜질 인간의 존엄이자 자유이며 생존을 위한 위대한 싸움이었다. 그리고 이제 자유롭고 위대한 인간의 영혼은 가장 깊숙한 곳에서부터 흘러나오는 가장 아름다운 선율로 승화되어 세계를 감동시킬 것이다. 블라디슬로프 스필만 (Wladyslaw Szpilman 1911~1988) 폴란드 소스노빅 태생.1931년, 베를린 음악아카데미에서 피아노를 배우던 도중 레오니드 크루저의 지도를 받게 됨. 이때부터 바이올린 협주곡을 비롯, [기계의 인생] 등 수많은 피아노 연주곡 작곡. 이후 인정받는 작곡자이자 피아니스트로 급성장 1935년, 수도 바르샤바에 있는 국영라디오 방송국에서 일을 시작하며 음악인으로 전 세계의 이름을 알리며 유럽과 미국 전역을 걸쳐 콘서트를 펼침 1998년, 한번도 아버지로부터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듣지 못했던 그의 아들 안드레이가 아버지의 회고록을 발견하고 이를 전세계에 공개 [THE Pianist]라는 이 책은 큰 성공을 거두며 전세계에 번역 출판됨. 스필만의 책은 생생하고 역동적인 삶의 보고서이자 경이로운 탈출과 생존에 관한 보고서로 로만 폴란스키 감독에게 커다란 영감을 불러일으킴. 로만 폴란스키는 책을 읽기 전 스필만과 두 번의 만남을 가졌고 2000년 초, 세 번째 만났을때 그에게 책의 영화화를 이야기함. 스필만은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한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자신의 회고록을 영화로 만든다는 것에 대해 기쁨을 감추지 않았으나, 영화가 촬영되기 전 2000년 7월 6일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남. [영화 줄거리] 전운의 기운이 한창 타오르던 1939년
폴란드의 바르샤바.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은 대중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는, 폴란드의 '국보급' 천재 음악가입니다.
여느 때와 같이 스필만이 라디오 스튜디오에서 쇼팽(Chopin)의 야상곡(Nocturne in C-Sharp minor)을 연주하던 중, 바로 그 방송국이 폭격을 당하면서 그는 연주를 끝내지도 못한 채 피난길에 오르게 됩니다. 나치에 의해 스필만의 가족들은
모두 죽음으로 가는 기차에 강제로 실리는데
피아니스트인 자신을 알아 보는 몇몇 사람들의 도움으로, 스필만은 극적으로 목숨을 건지게 되고...
극적으로 숨어 다니며 폭격으로 폐허가 된 어느 건물에
자신의 은신처를 만들게 됩니다. 아무도 없는 폐허 속에서 그에게 남겨진 것은 허기와 추위,
그리고 고독과 공포 뿐입니다. 먹을 것은커녕 마실 것 조차 없는 절대 절명의 위기상황에서 스필만은 오직 생존에의 일념으로 힘겹게 하루하루를 버텨 나가지요. 온전히 혼자 남겨진 그가 그 어둡고 눅눅한 폐건물 안에 있는 낡은 피아노에 앉아 건반 위 허공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며 상상으로 연주하는 안타까운 장면이 가슴 아픕니다. 간신히 목숨만을 지탱하던 스필만이 기적적으로 오래된 통조림 하나를 발견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통조림의 뚜껑을 따려다가 그만 우연히 그 주변을 순찰 돌던 나찌 독일 장교에게 발각되고 맙니다. 영화의 끝머리에서 소개되어 나오게 되는 이 독일군 장교는 실제 이름이 호젠벨트(Wilm Hosenfeld)로 1952년 소련의 포로수용소에서 사망했다고 전합니다. 한눈에 유태인 도망자임을 눈치챈 독일 장교가 그에게 신분을 대라고 요구하는데 삶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스필만은 자신이 "피아니스트"였다고 말합니다. 한동안의 침묵속에 그를 바라보고만 있던 독일 장교는 스필만에게 느닷없이 연주를 명령하는데, 추위와 허기로 곱은 자신의 손가락만 내려다보던 스필만은...
이윽고 어쩌면 지상에서의
마지막 연주가 될 지도 모르는 그 순간,
온 영혼을 손끝에 실어 연주를 시작합니다.
폐허 속에 울려 퍼지는 최후의 연주!! 죽음의 공포와 상상할 수 조차 없는 두려움 속에서 연주 초반엔 풀어지지 않은 굳은 손가락으로 어눌하게 시작하지만 오래지 않아 자신의 연주로 살아나는 쇼팽의 음악세계로 빠져들어 무아의 경지에서 감동의 연주를 들려주게 됩니다. 막다른 골목처럼 죽음을 앞에 둔 채
마주 한 피아노 건반 위에서 스필만은
한없는 감동과 그리움, 환희와 눈물을 만났을 것입니다.
통조림 깡통 하나로 대비되던 삶과 핏빛같은 죽음마저도 그 순간만큼은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의 예술혼에만 순수하게 빠질 수 있었을 것입니다. 영화 속에서 가장 긴장되고 감동적인 이 장면을 촬영하면서... 제작진들도 흐르는 눈물을 막을 수 없었다고 전합니다. 영혼을 움직인 위대한 선율은... 쇼팽의 Ballad No.1 in G Minor Op.23입니다 Ballad No.1 in G Minor Op.23 이 영화를 감상하시면서 들을 수 있는 음악들 중에서 다른 연주곡들과는 달리 특별히 음질이 조금 가라앉은 듯한 음악은 바로 쇼팽(Chopin)의 Mazurka in A Minor Op.17 No.4 영화에서 사운드 트랙에 올려진 이곡은 실제 인물 스필만이 생존해 있을 때 직접 연주한 곡으로 이 영화에 유일하게 등장하는 귀중한 곡이라고 합니다. 스필만이 생전에 직접 연주한 녹음 위에, 주인공 연기자가 음 하나도 틀리지 않도록 하기위해 피나는 연습으로 창조해 낼수 있었던 감동적인 명장면입니다. 이 특별한 연주곡도 여기에 소개드립니다. Mazurka No.13 in A minor: Lento ma non troppo, Op.17 No.4 Jean-Marc Luisada, Lilya Zilberstein 이 곡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영화 음악을 연주한 사람은 바로 [자누스 올레니작(Janus Olejniczak)]이라는 사람입니다. 특히 그는 영화의 첫 부분과 라스트를 이루는 쇼팽의 야상곡(Nocturne)을 실제로 연주하였다고 합니다. 감독 : 로만 폴란스키 /ROMAN POLANSKI 폴란드 역사에서 가장 슬프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영화로 만들겠다는 생각은 한번도 잊은 적이 없다. 하지만 동시에 나의 자전적인 이야기로 빠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또한 있었다. 그러나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이 쓴 회고록의 첫 장을 열자마자 이것이 바로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그 영화'가 될 것이라는 직감을 했다. 마침내 그토록 찾아왔던 이야기를 만난 것이다. 애드리언 브로디 /Adrien Brody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역 완벽주의자로 유명한 폴란스키 감독은 주연 배우를 캐스팅 하면서 스필만과 흡사한 외모를 가진 사람을 찾는 대신, [피아니스트] 자체 이미지를 주는 배우를 원했다고 하는데요, 영국과 유럽에서의 대규모 오디션도 만족스런 배우를 찾지 못했으나 미국까지 확장시켜 마침내 애드리언 브로디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그는 스필만 역을 위해서 식이요법으로 몸무게 73킬로그램에서 6주간 14킬로그램이나 뺐다고 하지요. 브로디는 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전시의 공포에서 살아남는 스필만의 감정을 세심하게 연기해냈다고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토마스 크레슈만 /Thomas Kretschmann 독일 장교 윌름 호센펠드 역 동독에서 태어난 토마스 크레슈만은 10대 시절 올림픽 수영선수로 활동했지만 수영선수가 되는 대신 배우가 되기로 결심합니다. 20대 시절, 공산주의의 통제를 피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해 서독으로 망명한 그는 여러 일을 전전하며 연기수업을 받습니다. 1991년, [DER Mitwisser]로 데뷔한 그는, 이 영화로 독일의 유명한 Max-Ophuls Prize에서 베스트 신인 연기상을 수상합니다. [현재 LA에 거주] [Bochum:scholle/18.01.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