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an, Beethoven(1770∼1827)

베토벤 / 현악4중주 7번 / 베토벤 / '라주모브스키에게 바치는 노래"

scholle 2010. 4. 8. 16:45


String Quartet No.7 in "Rasumovsky No.1

 

" 베토벤 / 현악4중주 7번 '라주모브스키에게 바치는 노래'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1805년말 부터 다음 해에 걸쳐서 베토벤은...

빈 주재 러시아 대사인 라주모프스키 백작의 의뢰로

제7번부터 제9번까지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한다.

소위 라주모프스티 4중주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세곡이 그것이다.

 

작품 59인 이 세곡에는 베토벤 중기의 원숙한 작법이

밀도있게 집약되어있다.

동시에 베토벤은 이 세곡으로 현악 4중주곡이라는

새 음악 양식을 확립하게 된다.

이 세곡은 그의 후기 4중주곡들과 함께 불후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제9번은 ...

월광 소나타나 교향곡 제5번 등과 맞먹는 대중성을 지니고 있어서

그의 현악 4중주곡 중에서도 가장 많이 연주된다.

곡 자체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각 악장의 주제가

모두 명확하게 쉽게 받아 들여진다.

 

특히 3악장 메뉴에트에서 아타카로 이어지는 4악장은

푸가의 수법을 도입한 장려한 음악이다.

시종 빠른 움직임으로 숨막히는 긴장감과 약동하는 박력을 보이고 있어서

마치 교향곡을 듣는 듯한 흥분을 자아내게 한다.

1악장-Allegro

2악장-Allegretto vivace e sempre scherzando

3악장-Adagio molto et mesto-attacca

4악장-Allegro(Theme reusse)

 

작품 59의 현악 4중주 3곡은

음악애호가이자 빈에 주재한 러시아 대사였던

라주모프스키(Rasumovsky) 백작에게 헌정되었다.

 

그는유럽 최고의 악단으로 알려진 현악 4중주단의

제2 바이올린을 맡고 있었다.

백작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베토벤은 1번의 피날레 주제와

2번의 3악장에 각기 다른 러시아 선율을 사용하였다.

 

1806년 여름과 가을에 작곡된 작품 59의 4중주곡들은...

하이든의 작품 17과 20의 4중주곡들과 비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곡들은 이 매체에서 작곡가의

특징적인 표현방식이 나타난 최초의 것들이다.

이 곡의 양식은 새로운 것이어서 음악가들에게 빨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라주모프스키 백작의 연주자들이 F장조의 4중주곡(제1번)을

처음 연주하였을때 그들은...

베토벤이 그들에게 농담을 하고있다고 확신하였다.

 

클레멘티는 자신이 베토벤에게

"확실히 당신도 이 작품들을 음악으로 생각하지는 않겠지요?" 라고 묻자..

베토벤은 평소와 다르게 자제하면서

"오, 그 곡들은 당신을 위해 쓴 것이 아니오,

후대를 위한 거요"라고 대답했다고 기록하였다.

 

F장조의 4중주곡의 알레그레토 악장은 특히

'미친 음악'으로 분류 되었다.

음악가들이나 청중들이 베토벤의 혁신이 합리적인 것이고,

 

그의 악상의 성격이 전통적인 어법과 형식을

수정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는 점을 깨닫는 데는

얼마간의 시간이 필요했던 것이다.

 

영웅 교향곡에서 뿐만 아니라

작품 59의 4중주곡들에서도 소나타 형식은

다수의 주제들과 길고 복잡한 발전부, 제2의 발전부라고 할 수 있는

규모와 의미를 갖는 확장된 코다 등으로 전대미문의 크기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확장과 함께 베토벤은 한 악장에서

전에는 명백했던 여러 부분들 사이의 구분선을 의도적으로 감추고 있다.

재현부는 위장되고 변화되며,

새로운 주제가 이전 재료에서부터 알아차릴 수 없을 만큼

은밀하게 나타나고 있고,

음악적 사고의 진행은 다이내믹하고 추진력 있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고전주의 시대의 정연하고

균형잡힌 형태를 실제로 경멸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가지고 장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발전은 베토벤의 제2기 전체에 걸쳐 계속되고 있으나,

그 변화는 덜 친밀한 교향곡과 서곡에서보다

4중주곡과 피아노 소나타에서 더욱 급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Bochum:scholle/08.04.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