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an, Beethoven(1770∼1827)

베에토펜 / 피아노 3중주 7번 "대공"작품 97

scholle 2010. 8. 31. 01:00

Beethoven: Piano Trio No.7 In B-Flat Major, Op.97, "Archduke"

베에토펜 / 피아노 3중주 7번 "대공"작품 97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Performer : Anner Bylsma, Cello (Pressenda, Turin - 1835)

Jos van Immerseel, Fortepiano (Tradlin, Leipzig - 19th C.)

Vera Beths, Violin (Stradivari, Cremona - 1727)

Ensemble L'Archibudelli

 

1. Allegro Moderato (12:13)

2. Scherzo : Allegro (06:26)

3. Andante Cantabile Ma Pero Moto (10:58)

 

베토벤은 모두 7곡의 3중주곡을 작곡했다.

첫 번째 작품인 E flat장조는 1795년 여름에 출판되었지만,

베토벤의 자필원고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정확히 언제 작곡된 것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베토벤의 가장 초기작품 중 하나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E flat 장조를 포함해 G장조, c단조로 이루어진 세 곡의 피아노 3중주를

op.1로 분류하고 있다.

 

이들 곡은 모두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이 곡들은 당시 베토벤의 후원자였던 리히노프스키 후작이 주최하는

연회에서 연주되기 위해 작곡되었는데

당시 베토벤을 지도하고 있던 하이든의 음악적 영향이 많이 발견되는 곡들이었다.

 

하지만...

마지막 곡인 c단조에 대해 하이든은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면서

출판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고 한다.

반면 세 곡 중 c단조에 대해 가장 만족감을 가지고 있던 베토벤은

그 권고에 대해 격노했으며 ...

하이든이 자신의 작품에 대해 질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가졌다고 한다.

 

하이든의 음악적 성격과 c단조 3중주곡의 음악적 파격성

그리고 후에 빈번히 발견되는 베토벤의 인간적인 특성으로 미루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에피소드가 아닌가 한다.

 

이후 베토벤이 다시 3중주를 작곡한 것은 1798년이다.

op.11로 분류되는 B flat장조의 이 작품은 바이올린 파트 대신

클라리넷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베토벤이 음악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던 시기에

작곡된 흔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곡은 가끔 클라리넷 파트가 바이올린으로 편곡되어 연주되기도 한다.

 

이후 베토벤은 10년 가까이 3중주곡을 작곡하지 않았으며

1808년에 이르러 op.70의 3중주곡을 두 곡 출판한다

. 이 시기는 작품번호를 보아도 알 수 있겠지만

op.67, 68의 두 교향곡, 5번과 6번 "전원"을 비롯해 op.73의 피아노 협주곡

"황제" 등 베토벤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들이 쓰여진 충실한 시기였으며

op.70의 1번 D장조는 '유령 (Geister)'이라는 제목으로 잘 알려진 곡이다.

 

베토벤의 마지막 3중주인 B flat장조는 1811년에 완성된 곡이다.

자필 악보에의 첫 머리에는 '1811년 3월 3일'

마지막 부분에는 '1811년 3월 26일 완성'이라는 작곡자의 기술이 들어가 있는데..

여러 스케치 등으로 미루어 보아서는 1810년부터 이 곡을 구상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 곡이 바로 실내악 사상 가장 뛰어난 3중주곡으로 평가받고 있는 op.97의

'대공 (Archduke)'이다.

이 곡에서 베토벤은 이전의 3중주곡,

특히 op.70에서 시도한 피아노 중심의 협주곡적 성격을 가지는 3중주곡을 완성시킨 것이다.

곡은 전형적인 4악장 구성이지만 기존의 어떤 3중주보다 큰 규모에다

베토벤 특유의 당당하고 아름다운 선율,

이 시기의 작품이 가지는 독특한 우아함 등이 잘 조화된 작품이다.

이 곡의 제목인 '대공'은 베토벤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였으며

좋은 친구이기도 했던 루돌프 대공에게 이 곡이 헌정된 데에서 유래한다.

 

[Bochum:scholle/29.08.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