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an, Beethoven(1770∼1827)

베토벤 / 피아노소나타 9번

scholle 2010. 12. 20. 05:37

Piano Sonata No.9 in E major, Op.14-1

베토벤 / 피아노소나타 9번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Richard Goode, Piano

1악장 (Allegro)(04:31)

2. Allegretto (03:12)

3. Rondo - Allegro comodo (03:33)

 

별칭 : 부부의 대화 매우 명쾌한 형식으로 쓰여진 곡이다.

제 2악장 알레그레토는 느린 악장과 스케르초를 겸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베커는 이 악장에서 작품 90의 소나타를 예견하고 있다.

 

음악 양식으로서의 소나타

서양음악의 작곡기법과 형식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하나를 꼽는다면

그것은 '소나타(Sonata)'가 될 것이다.

 

이는 성악곡에 반대되는 기악곡을 통칭하는 말로

우리가 접하는 고전음악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 독주악기나 관현악이나,

실내악을 위한 기악곡들이며,

이것들은 모두 큰 의미의 '소나타'다.

 

이것이 피아노와 같은 독주악기를 위한 경우에

우리는 그대로 '소나타'라고 부르지만

그외의 경우에 '교향곡'이라고도 부르며 '현악 사중주'라고도 하며

'협주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요컨데 ...

'소나타'라는 것은 빠르고 느린 몇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작품을 일컫는 것이다.

 

작품으로서의 소나타 이외에

악장의 작곡양식으로서의 '소나타'가 있다.

어떤 음악에 대해 설명할 때 '1악장, Allegro, 소나타형식'과 같은

말을 자주 하게 되는데 소나타들의 첫 악장은

거의 예외없이 소나타형식을 취하고 있다.

 

피아노와 같은 독주악기를 위한 소나타는

3악장의 구성이 흔하지만,

실내악이나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 (현악사중주곡, 교향곡)는

4악장의 구조가 많은데 이 경우 세 번째 악장은 짧은 무곡이 삽입된다.

 

위에서도 언급됐듯이 소나타의 첫 악장은

소나타형식으로 만들어진다.

그렇다면 소나타형식이란 어떤 것인가.

소나타 형식은 비교적 빠른 템포를 취하여

크게...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혹은 도입부, 발전부, 재현부)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제시부에서는 제 1주제가 으뜸조로 나타나며

이 주제의 조성을 곡의 조성으로 본다.

제 1주제는 조성에 관계없이 활기차고 생기있는 느낌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주제가 제시되면 그 선율과 화성을 소재로 하여 약간의 변화를 주는

경과구가 나타나게 되고 이어서 2주제가 시작된다.

 

2주제의 조성은 1주제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보통은 1주제의 으뜸조에 대한 딸림조나 관계장조

(1주제가 a단조였다면 2주제는 C장조가 된다는 식으로)로 나타나게된다.

또 하나의 특징은 활기있는 제1주제에 비해 2주제는 서정적이고

'한 숨 돌리는 듯 한'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고전파시대의 소나타들을 가만히 들어보면

이러한 특징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전개부는 제시부에 포함된 소재들을 음악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부분이다.

 

1주제의 화성, 2주제의 화성, 경과부의 선율들이 복잡하게 얽히고,

다양한 조성이 등장한다.

대위법적인 기술이 등장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재현부는 제시부가 다시 등장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제 2주제의 조성이 제 1주제와 동일하다.

음악의 오묘함이 바로 여기에 있다.

 

서로 대조적인 분위기와 상이한 - 실제로는 종속적인 - 조성을 가지는

두 가지의 주제가 발전부에서의 복잡한 전조를 거듭하여

그 음악적인 갈등이 절정에 달하는 순간에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두 가지의 주제로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 때에는 분위기마저 흡사하다.

 

대립하는 두 가지 사상이 갈등을 겪은 후에

융화된 하나가 된다는 것은 우주에서 가장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섭리가 아닐까?

음악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깊이있고 도덕적이며

건전한 것이라는 것을 여러 작곡양식을 통해 증명할 수 있지만

소나타형식은 가장 쉽고도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악장은 통상적으로 서정적인 분위기를 가지는 느린 악장이다.

조성은 소나타형식의 1,2주제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1악장의 딸림조 혹은 관계장조이며,

A-B-A의 세 도막형식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A부분은 아름다운 선율이 가요풍으로 노래되고,

B부분은 딸림조로 전조되어 다소 폴리포닉

(몇 개의 선율선이 겹쳐져서 진행되는 양식)하게 진행된다.

 

되돌아오는 A부분은 첫 머리보다 화성적인 구조가 약간 복잡하다.

소나타형식의 2주제와 마찬가지로 '한 박자 쉰다'는 느낌이 강하다.

마지막 악장에는 론도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템포는 첫 악장보다 훨씬 빠르고 주제의 동기는 짧고 간결하다.

 

론도(Rondo)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주제를 끼고

몇 가지의 다른 경과부가 계속해서 등장하는 형식을 말하는 것이다.

경과부와 경과부사이에는 반드시 주제가 삽입되며

직접 다음의 경과부로 넘어가는 일은 없다.

 

소나타를 구성하는 악장들은 전체적으로 변증법적인 구조를 지닌다.

대립되는 성격의 악장이 2개 연속하여 등장하고

종악장에서 갈등은 해소된다.

요컨데 정-반-합이다 악장을 구성하는 소나타형식과 같은 원리이다.

이처럼 합리적인 곡의 구성은

가장 많은 작곡가들의 공감을 일으켰고

서양음악의 '주류'로 자리하게 하였다.

 

[Bochum:scholle/12.2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