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리오즈 이탈리아의 해롤드 (Harold en Italie, Op.16)
베를리오즈 (1803-1869)
베를리오즈에게 바이런은 깊은 예술적 영감과 영향을 주었다.
낭만주의 시대 영웅적 시인이자 당대 유럽 젊은이들의 가슴을 들끓게 했던
바이런의 차일드 헤럴드의 편력을 음악화 하려는 의욕은..
파가니니의 비올라 협주곡 위촉을 통해 현실화된다.
여기에서 비올라를 독주 악기로 선택한 것은
새로운 비올라를 구한 파가니니로부터 작품을 의뢰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파가니니가 독주 부분에 불만을 가져 이 곡을 거부했다.
그리고 오케스트라 부분을 리스트가 피아노로 옮긴 2중주의 형태도
널리 소개되어 있으며 색다른 멋이 더해진다.
베를리오즈는 파가니니가 원했던 기교 과시용 비올라 협주곡은
그의 구미에 맞지 않았다.
대신 그는 표제 교향곡과 같은 성격을 지닌 장대한 곡을 완성한다.
삶과 세상에 대한 비관 속에서 탈출구를 찾아보려는
젊은이의 미지의 세계에 대한 탐험과 방황,
다채로운 편력을 노래한 바이런의 작품 가운데
이탈리아편을 주목하여 음악화 한다.
멀티미디어적 감각을 지녔던 베를리오즈에게 비올라는
시의 주인공이자 방황하는 헤럴드를 나타낸다.
이 작품에서 베를리오즈는 리스트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의 파노라마와 같은 음향 세계를 선구적으로 다채롭게 그리고 있다.
1830년 문제작 환상교향곡으로 센세이션을 일으킨지 4년후
1834년에 나온 작품으로 과감한 시도와 착상이 베를리오즈 특유의
세련된 오케스트라 술과 융합된 걸작이다.
제1악장 산 위의 헤럴드 이탈리아 각지의 산을 방황하며
고통스럽게 삶과 세계를 탐험하는 헤럴드를 그린다.
느리고 비감 어린 오케스트라의 서주 후에 등장하는 비올라의 노래는
간절함과 유장함을 담고 있다.
구원을 찾는 젊은이의 구도자의 심경과 방황의 마음을 담고 있는 듯하다.
이 선율은 곡 전체의 고정 악상으로 등장한다.
1악장
(Harold in the Mountains: Scene of melancholy, happiness and joy)
Sir Thomas Beecham,
Conductor Royal Philhamonic Orchestra, 1951 녹음
2악장
순례자의 행진 모든 것을 버리고
고행을 통해 죄를 참회하면서 구원을 바라는 순례자들과 만난 헤럴드.
그 속에서 뭔가를 얻을 수 있을까.
코랄풍의 경건한 울림으로 시작된다.
2악장 (March of the Pilgrims singing their Evening Prayer)
Sir Thomas Beecham,
Conductor Royal Philhamonic Orchestra, 1951 녹음
3악장
세레나데 아브루치에서 듣는 세레나데.
감미로움과 감각적인 울림을 통해 잊혀졌던 쾌락과
세속의 즐거움을 노래하는 듯하다.
다양한 악기들이 절묘하게 조합하여 베를리오즈 특유의
서정성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제4악장 건달패의 술판 헤럴드는 건달들의 술판에서
어지러움과 폭력을 보지만
한편으로는 그에 이끌리는 헤럴드 자신의 욕망과
그를 거부하는 상반된 감정을 느낀다.
비올라의 주제가 거듭 등장하며 앞의 악장들과 달리
빠르고 격정적인 울림과 흐름이 주목할만하다.
4악장 (Brigands' orgy: Reminders of the preceding scenes)
Sir Thomas Beecham,
Conductor Royal Philhamonic Orchestra, 1951 녹음
바이런(Byron, 6th Baron(1788~1824)
영국의 낭만파 시인
런던(London) 출생.
아버지는 미남이었으나,
‘미치광이 존’이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로
방종한 가난뱅이 사관(士官)으로, 전처의 자식이 있었다.
후처로 들어온 바이런의 어머니 캐서린 고든은
스코틀랜드의 어느 부호의 재산 상속인이었으며,
바이런은 이 두 사람 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났다.
1791년 아내의 재산마저 탕진해 버린 아버지가
프랑스에서 방랑하다가 죽자,
그는 어머니의 고향인 스코틀랜드 북동부의 항구도시 애버딘에서 자랐다.
어머니는 오른 다리가 기형인 아들에게 냉담하기도 하였으나
독실한 청교도(淸敎徒)인 유모 메이 그레이의 캘빈주의의 종교교육을 받아
후일 이 시인의 악마주의(惡魔主義)는
심각한 내부적 반항으로 승화되었다.
1798년 제5대 바이런 남작(男爵)이 죽음으로
제6대를 상속하여,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노팅엄셔의
낡은 뉴스테드 애비의 영주(領主)가 되었다.
이듬해 런던에 올라와 다리지의 예비 칼리지를 거쳐 해로 스쿨에 다녔다.
다리는 부자유하였으나 수영과 크리켓도 잘 하였다.
1805년,
케임브리지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들어가
시집 "게으른 나날"(1807)을 출판하였다.
이 시집에 대한 "에든버러 평론"지의 악평에 분개하여
그는 당시의 문단을 비평한 풍자시
"잉글랜드의 시인들과 스코틀랜드의 비평가들"(1809)로 울분을 풀었다.
그 후 생활태도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험의 꿈을 안고
소작인의 아들과 종복(從僕), 친구 홉하우스를 데리고 배로 고국을 떠났다.
그는 이 때 이미 성년(成年)으로 상원(上院)에 의석을 두고 있었다.
리스본에서 육로로 에스파냐를 돌아보고,
몰타섬과 알바니아를 거쳐 아테네와 마라톤에 들렀으며,
스미르나에 머물면서..
장편서사시 "차일드 해럴드의 편력(遍歷"(1, 2권, 1812)을 썼다.
그후 2년 남짓한 긴 여행을 끝마치고 1811년에 귀국하였다.
1812년 상원에서 산업혁명기 방직공의 소요탄압(騷擾彈壓)에 항의하는
열변을 토해 이름을 떨쳤으며,
또 차일드 해럴드의 편력의 출판으로도 생의 권태와 동경을 실은
분방한 시풍과 이국정서(異國情緖)가 큰 호응을 얻어 유명해졌다.
그 후 스콧의 뒤를 이어
담시(譚詩)
아바이도스의 신부(1813)
해적(1814)
라라(1814) 등을 잇달아 출판하였으며,
반속적(反俗的)인 천재시인,
미남인 젊은 독신귀족이라 하여 런던 사교계의 총아로 등장하였고,
캐롤라인 램 남작부인, 이복 누이 오거스터 리 부인,
옥스퍼드 백작부인 등과 관계를 가졌다.
1815년 양가의 딸인 애너벨러 밀뱅크와 결혼하였으며,
헤브라이 영창(詠唱)(1815) 파리지나(1816) 코린트의 포위(1816)를 출판하였다.
그러나 딸 출생 후 아내의 별거 요구로 1816년 고국을 떠났다.
그 해 여름을 셸리 부부와 스위스에서 지내면서,
차일드 해럴드의 편력(3권, 1816) 실롱의 죄수(1816)등을 썼다.
그 후 베니스에서 방종한 생활을 하면서도
맨프렛(1817)
타소의 비탄(1817)
베포(1818)
차일드 해럴드의 편력(4권, 1818)
마제파(1819) 등을 썼으며,
또 대작(大作) 돈 주안(1819∼1823)에 착수하였다.
셸리가 영국에서 온 이듬해인 1819년에는
테레사 귀치올리 백작부인과 동거생활을 하였는데,
그 동안에도 돈 주안을 계속하여 썼으며,
단테의 예언(1821)
4편의 시극(詩劇)
마리노 팔리에로(1820)
카인(1821)
포스카리 2대(1821)
사르다나팔루스(1821)를 썼다.
1822년에 셸리와 리헌트를 불러 [리버럴]지를 발간하여,
풍자시 심판의 꿈(1822) 등을 발표하였으나,
셸리의 익사(溺死)로 4호밖에 내지 못하고 폐간하였다.
1823년 그리스 독립군을 도우러 갔다가,
고난 끝에 1824년 4월 미솔롱기온에서 말라리아에 걸려 사망하였다.
그러나 바이런의 비통한 서정,
습속에 대한 반골(反骨), 날카로운 풍자, 근대적인 내적 고뇌,
다채로운 서간 등은 전유럽을 풍미하였고,
한국에서도 일찍부터 그의 작품이 널리 애송되었다.
글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토마스 비첨 경 (Sir Thomas Beecham(1879.~1961.)
세인트 헬렌스 출생.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했으나,
음악은 독학으로 하였으며, 우연히 명지휘자 한스 리히터(Hans Richter)의
대역을 맡은 것이 계기가 되어 음악계에 투신,
1905년 런던에서 지휘자로 데뷔하였다.
이듬해 자비로 뉴심포니오케스트라를 조직하고
그후로도 1908년 비첨교향악단, 1932년에 런던필하모니관현악단을 조직하고,
1946년에 로열필하모니관현악단을 재건하였다.
1910년 이후는 구미 여러 곳에서 교향악과 오페라를 지휘하면서
영국의 작품을 해외에 소개하고, 또 해외 작품을 영국에 소개하는 등,
영국음악계에 크게 공헌하였다.
말년에는 미국 휴스턴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를 지냈다.
1916년 기사작위를 받았고,
같은 해.. 아버지의 사망에 의해 준남작(准男爵)에 습작되었다.
20세기의 세계적 명지휘자의 한 사람으로 세계 음악계에 공헌한 바 크다.
토마스 비첨은 1879년 4월 29일
영국 리버풀 근교의 세인트헬렌즈에서 태어나서
1961년 3월8일 런던에서 타계했다.
부친은 유명한 '비첨즈 피르스(환약)'의 사장으로서
음악 애호가인 부호였다.
토머스도 부친을 닮아 나면서부터 음악을 좋아하여
옥스퍼드 대학 재학 동안에는 학교를 빼먹고 독일까지 가서
오페라를 듣곤 하였다고 한다.
자식에게 가업을 물려주고 싶다고 열망한 부친은 당시의 영국인답게
음악가로서 나서려는 자식의 의견에 반대하였다.
1898년의 일로, 부친이 음악 스폰서가 되어
할레 관현악단을 고향에 초청하였는데,
막 개막하기 직전에 명지휘자 한스 리히터가 갑작스럽게 병에 걸려
지휘를 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대역을 협의하다가 한 사람의 단원이
"조지프 경, 아드님에게 시키면 어떨까요."라고 권유하였다.
단원의 일부에서 반대도 있었으나
배짱이 두툼했던 부친이 "좋아요. 해보게 하지요.
싫은 자는 나오지 않아도 좋소."하고 단언하였다.
이렇게 하여 토머스 비첨은 19세 때에 처음으로 정식 공연을 지휘했던 것이다.
그 후 부친과 화해한 비첨은 막대한 부친의 재산을
음악에 쏟아 넣게 되었다.
1910∼1916년, 비첨은 R.슈트라우스의 오페라를 처음으로
영국에 소개하는 등 오페라의 지휘를 중심으로 콘서트 활동도 활발히 하였다.
1914년 '나이트'에 서위되었고,
한편 준남작의 위를 세습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콘서트 활동을 주축으로 하였고,
1947년에 스스로 창립한 로열 필하모니 외에도 자주 해외에
객원 연주하여 절대적인 명성과 인기를 독차지하였다.
비첨의 예술 스타일은 평생 '아마추어'가 가지는 음악에 대한
순수한 애정으로 일관되고 있었다.
만년에는 완전히 천의무봉 경지에 도달하여 악계의 '명물'로서
존경받고 사랑을 받았다.
토머스 경의 어프로치는 언제나 신선하였고,
세련된 프레이징, 음의 맑고 깨끗한 밸런스, 흐르는 듯한 음악의 선으로써
알려져 있었다. 하이든,
모차르트를 즐겨 연주한 경의 카르멘 전곡은
가장 엘레건트한 카르멘이다. 비제의 교향곡 C장조를 세상에 낸 것도 경이었다.
평생 딜리어스의 옹호자였던
경의 딜리어스 명연집 (모두 에인절)은 세기말 유미주의의 극치이다.
어떤 곡이라도 음악적인 기쁨을 솟아나게 하는 것도 경의 특징의 하나였다.
탄생 100주년을 계기로 하여 상당한 수의 복각 음반이 나왔는데,
그 중에서도 딜리어스의 음악.(에인절)과 그 제2집(영국 EMI)은
불멸의 다큐멘트로서 빛나고 있다.
깎아내리지 않으면 못 배겨..!!
영국의 지휘자인 토머스 비첨과 맬콤 사전트는 사이가 나쁘다.
어느날 이 두 사람과 여러 사람이 모임을 가졌는데
사전트 경이 중근동 지방을 연주 여행했을 때 드릴을 겪은 이야기를 끄집어냈다.
"하이파란 곳에서 예루살렘까지 자동차로 달릴 때
유목 민족인 베드윈족 들이 느닷없이 총을 쏘는 바람에 죽는 줄 알고 혼났읍니다"라고 말하자
,비첨 경은 매우 빈정대는 말투로,
"베드윈족이 그처럼 음악에 이해가 있으리라고는 미처 생각지도 못했는걸!"하고 말했다.
이 말은 "베드윈족들이 그래도 사전트를 알아 주는군"하는 뜻이었다.
그러나 언뜻 비첨의 말을 알아듣지 못한 사전트는 한참 생각하다가
그제서야 자기를 비꼬는 줄 알고,
비첨에게 "아마 당신이 나처럼 당했더라면 까무라쳤을거요!" 라고 되쏘았다.
아무튼 이 두 지휘자는 서로 남의 말을 깍아내리지 않으면 못 배겼다고 한다.
로얄 필 오케스트라(Royal Philhamonic Orchestra)
로얄필하모닉은 필하모니아와 더불어 영국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
1946년 영국의 '토마스 비첨 경'(Sir Thomas Beecham)이 창설했다.
(런던소재)
1961년 그가 죽기까지는 계속해서 이 오케스트라를 이끌다가
이후에는 잘 알려진..
대가인 Rudolf Kempe , Antal Dorati, Previn, Vladimir Ashkenazy 등이
이끌다가 1996년부터는 다니엘 가티가티가 음악감독이다.
영국오케스트라는 별로 대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황인데
개중에는(영국오케스트라 중에는) 제일 소리가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가볍고 화려한 소리가 특징이며 역사가 있는 오케스트라인 만큼 나
름대로의 개성이 있습니다.
특히 현과 목관부분이 찬란한 소리를 들려준다.
[Bochum:scholle/09.01.2012]
'Hector Berlioz ((1803∼1869)'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를리오즈 / 로마의 사육제 서곡 (Le Carnaval romain, Op.9) (0) | 2012.01.10 |
---|---|
베를리오즈 / 베아트리체와 베네딕트 서곡 (0) | 2012.01.05 |
베를리오즈 / 환상 교향곡 -Symphonie Fantastique, Op.14 (0) | 2011.04.11 |
베를리오즈 / 해적선(海賊船)서곡 (0) | 201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