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an, Beethoven(1770∼1827)

베토벤:교향곡5번 C단조 op.67"운명"

scholle 2008. 3. 27. 03:33

[베토벤:교향곡5번 C단조 op.67 / 운명]

흔히 "운명"이라는 부제로 알려진 베토벤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곡이다.

하지만 ...

이 부제는 베토벤의 다른 교향곡들,

3번/에로이카

6번 전원

9번 합창'과 같이 정식으로 작곡자가 붙인 이름은 아니다.

 

이 곡은 C 단조로 쓰여졌기 때문에 서양에선 주로

'베토벤의 C단조 교향곡'으로 불려지며 'Fate'라는 부제를 붙이는것은 드물다.

 

이 베이직 클래식 코너는 흔히들

"클래식"이라 부르는 서양 고전음악을 듣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법한 곡을 소개하는 란이며 ..

베토벤의 교향곡 5 번이 그 첫 테입을 끊었다는건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곡은 너무 유명하고 보편적이어서 음악을 좀 들었다 하는 사람들은

애써 이 곡을 언급 하기를 피하기도 하지만,

그만큼 몰라서도 안 될 필수적인 곡이다.

 

이 곡은 베토벤이 처음 시도부터 완성까지

약 6년간 온 힘을 기울여 베토벤 자신의 인생관을 투영한 걸작중의 걸작이다.

그가 38세되던 1808년에 완성됐는데 아직은 젊은..

베토벤의 도전, 거센 숨결, 갈등, 슬픔, 좌절과 그 좌절을 딛고

성숙된 자아로 발전 하고자하는 그의 의지가 엮여져 있다.

 

고뇌를 통한 자아 확립의 의지와 그 성취에의 기쁨을

그대로 음악으로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이 교향곡에 대한 유명한 에피소드를 하나 소개함으로써

이곡이 당시 음악계에 던져준 충격을 추측해 볼까한다.

 

작곡가 베를리오즈의 '회상록'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베를리오즈의 스승이면서 프랑스의 저명한 음악교수인 르쥐외르(Lesueur)는

학생들 사이에 굉장한 인기를 누리고 있던 베토벤을 애써 외면하고 있었다.

 

하루는 베를리오즈의 성화에 못이겨

C단조 교향곡이 연주되는 음악회에 가게 되었는데,

연주가 끝난 뒤 베를리오즈는 그의 의견을 듣고싶어 그에게 달려갔다.

"어땠습니까, 선생님?"

"우선 바람을 좀 쏘여야겠어,

굉장하군. 모자를 쓰려고 했을 때 내 머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수없을 정도였어.

 

지금은 아무말도 할게 없네. 다음에 얘기하세."

다음 날 베를리오즈가 그를 방문했을 때,

그는 그때의 감동을 얘기하면서도 고개를 흔들며 말했다."

그런 음악은 더 이상 작곡되서는 안 될꺼야.

 

"베를리오즈가 대답하기를,

"물론입니다, 선생님.

다른 사람이..

그런 음악을 작곡할 염려는 조금도 없습니다."

 

구성과 악기편성 전형적인 교향곡처럼 모두 4악장으로 되어있다.

제 1악장: Allegro con brio C단조 2/4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서두는

'이처럼 운명이 문들 두드린다'라고 베토벤이 말했다고

후에 베토벤의 제자가 전하는 유명한 '따따따 딴' 4개의 음으로 시작된다.

 

그 단순한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여 갖가지 형태로 변화하는 가를 들어 보시라.

흔히들 베토벤 교향곡 5번은

1악장만이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오해를 초심자들은 가지고 있다

2악장부터 4악장까지 1악장에서 보여준 그 운명과도 같은 고뇌가

어떻게 승리와 환희로 이어 지는지가 실은 이 곡의 핵심이다.

 

제 2악장: Andante con moto Ab장조, 3/8박자

두개의 주제를 가진 자유롭고 아름다운변주곡이다

 

제 3악장: Allegro C단조 3/4박자

스케르쪼 악장으로 1악장의 주제가 다시 나타나 구조의

견고함과 통일감을 준다.

3악장은 끊이지 않고 바로 4악장으로 이어 지면서

곡의 큰 클라이막스를 만든다.

 

제 4악장: Allegro C장조 4/4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전 악장들의 주제를 여기에 한번 더 회상시키면서

곡 전체를 유기적으로 확고히 연결 시킨다.

프레스토로 끝나는 마지막 코다까지 운명을 이겨낸 환희를 표현함에 부족함이 없다.

 

플룻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현 5부,

그리고 4악장에서만 피콜로, 콘트라파곳, 트럼본 3 이 추가된다.

이들 악기소리를 주의 깊게 들어 보면서 음색의 차이로 구별해 보는 것도 좋다.

[Ludwig van Beethoven

[Bochum:scholle/27.03.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