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A, Schumann (1810∼1856)

R. 슈만 / 클라라 비에크 주제에 의한 변주곡

scholle 2015. 11. 4. 03:33
Variations on a Theme by Clara Wieck (from. Sonata No.3 in F minor, Op.14 3 movement - Quasi Variazioni, Andantino de Clara Wieck) R. 슈만 / 클라라 비에크 주제에 의한 변주곡 (피아노 소나타 제3번 3악장)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 ~1856) 블라디미르 호로비츠(pf) Vladimir Horowitz Recorded. February 5,14, 1969 이 곡은 슈만의 피아노 소나타 3악장이다 호로비츠는 이 악장에 매력을 느꼈는지 세번의 녹음을 남기고 있다. 클라라와의 이별의 슬픔을 슈만은 클라라가 작곡한 선율(Claramotto)을 인용하여 3악장의 변주곡 주제를 만들고, 6 개의 변주곡으로 전개시켰다. 클라라 모토(Claramotto)는 소나타 전체의 순환주제로 전 악장에 걸쳐 나타나 유기적인 연관성이 강조되는 순환형식(CyclicForm)으로 악장간의 연결과 통일성을 주고 있다. 작품이 완성된 1836년은 슈만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비크(FriedrichWieck, 1785~1873)의 반대로 클라라(Clara Wieck,1819~1896)와 헤어진 해로 슈만 에게 심적으로 힘든 시기였다. 슈만은 이 시기를 1838년 11월 28일 자신의 일기에 ‘암흑기’라고 기록하고 이때 소나타 제3번이 완성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소나타의 전 악장을 단조로 통일시켜 당시의 심리적 상황 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슈만의 피아노 소나타 제3번 슈만의 피아노 소나타는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과 비교하면 악장의 구조적 통일성과 발전부가 미약하고 형식 논리가 결여되어 소나타를 조직적 통일체 로 여기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고전시대의 소나타 형식의 보편 적인 형식과 이상화된 내용에서 벗어나 표현의 폭을 넓혀 낭만주의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형식과 내용에 새로움을 추구하여 소나타 형식의 구성 원리와 어법들을 낭만주의적으로 재해석하였다. 앞서 작곡된 소나타(Op.11,22)에 비해 화려함과 고도의 기교를 요구하는 대규모 구성의 소나타 제3번은 1835년 가을부터 작곡하여 이듬해 6월에 완성 되었다. 이 곡은 처음에 고전 소나타 형식에서 발전하여 2개의 스케르초를 갖는 5개 악장으로 형성되었으나 출판업자 하슬링거(Tobias Haslinger,1787~1842)는 스케르초인 제24악 장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 악장 구성의 '관현악이 없는 협주곡(Concertsans Orchertre)' 이라는 표제로 1836년 10월 출판되었다. 작품의 헌정은 1819년 여름 칼스바트(Karlsbad)연주회에서 슈만에게 피아노 연주가로 동기를 제공한 모셀레스(IgnazMoscheles,1794~1870)에게 되었다. 하지만 모셀레스는 '작품의 제목이 성격과 어울리지 않다며, 이 곡은 협주 곡에서 기대되는 화려함보다는 베토벤과 베버의 대규모 소나타(GrandSonata) 의 성격이 더욱 진하다' 라고 조언한다. 이에 슈만은 사망 3년전,1853년 작 품 수정을 통해 첫 번째 출판에서 삭제한 두 개의 스케르초 중 두 번째 스케르 초를 복원하여 2악장으로 재구성한다. 또한 1악장은 더욱 화려하게 장식적인 음을 첨가하고 마지막 악장은 6/16박자의 Presto를 2/4박자의 Prestissimo possibile로 수정하여 4개 악장을 갖는 Trosi?megrand Sonata'란 제목으로 재출판 했다.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소나타 제3번은 슈만이 최후에 출판 한 4개 악장 구성의 1853년 버전(version)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작품 은 슈만이 사망하고 6년후인 1862년 빈에서 브람스에 의해 초연되었다. [출처:photamia] [Bochum:scholle/03.11.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