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78

사랑하고 싶은 사람 / 이성선

사랑하고 싶은 사람 / 이성선 "물에다 몸을 비추고 있는 나무 둥치를 바라보다가 푸르름을 그 속에 오히려 더 깊이 펼친 모습이 너무 아름답고 황홀해 보여 나무 곁에 서서 나도 나무 아닌 사람으로 자신을 들여다 본다. 거울 속의 내 얼굴은 너무 잘 비치어 차라리 추하게 보이더니 물 속의 사내는 흔들림 속에 왠일로 조금은 슬프고 외로운 듯 깊고 멀리 있다. 그런 그 사내가 옛 사람처럼 갑자기 그리워져 모든 것 버리고 와락 달려들어가 껴안고 싶어진다.

[시인들 세상] 2017.12.03

R. 슈트라우스 : 풍경화 작품 9-2 '외로운 샘물'

R. 슈트라우스 : 풍경화 작품 9-2 '외로운 샘물' Stimmungsbilder for piano Op.9-2 'An eisamer Quelle'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Richard Georg Strauß 1864 ~1949) 독일 뮌헨의 비르투오소 호른 주자인 프란츠 슈트라우스의 아들로 태어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는 모차르트나 멘델스존 못지않은 음악 신동이었다. 겨우 6살 때부터 작곡을 하기 시작한 그는 마치 숨 쉬듯 자연스럽게 음악을 만들곤 했다. 피아노를 위한 폴카와 크리스마스 노래로 작곡을 시작하여 8세 때에 이미 오케스트라 음악을 만든 슈트라우스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쯤에는 이미 140여곡을 작곡한 작곡가로 성장해있었다.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

홀로 걷기 / 소로우의 일기 중에서

홀로걷기 / 소로우의 일기중에서 바로 지금 숲 속이나 들판을 걷는 것만큼 건강에 좋고 시적(詩的)인 것은 없다. 아무와도 마주치지 않을 땐 더욱 그렇다. 걷기만큼 나의 기운을 북돋워 주고, 침착하고 바람직한 생각을 불러일으켜 주는 것은 없다. 거리를 걷거나 사회 속에서 나는 늘 보잘 것 없는 존재로 위축되어 말할 수 없이 초라해 짐을 느낀다. 하지만... 외딴 곳에 떨어져 있는 숲이나 들판 혹은 토끼가 자취를 남기고 지나간 풀밭위에 홀로 있으면.. 나는 정신이 맑아지면서 다시 한번 당당해지고 쓸쓸함이나 고독까지도 나의 절친한 벗으로 다가온다. 내 경우에는 이것이 기도를 하는 것만큼 이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마치 향수병에 걸려 고향으로 돌아가듯 내 고독한 숲길을 걷게 된다. 도시에서 벗어나 바위..

[마음의 평화] 2017.11.30

즈데네크 피비히-교향곡 2번 in E flat major Op.38

즈데네크 피비히-교향곡 2번 in E flat major Op.38 (1892-1893) 네메 예르비(지휘) 디트로이트 교향악단 Zdenek Fibich - Symphony No. 2 in E flat major Op. 38 (1892-1893) Neeme Järvi (cond) Detroit Symphony Orchestra 1. Allegro moderato 8:46 2. Adagio 7:21 3. Scherzo. Presto 8:29 4. Finale. Allegro energico 8:38 즈데네크 피비히는 체코의 작곡가이다. 동 보헤미아의 프세보루지체에서 임무관의 아들로 태어나 프라하, 라이프치히, 파리, 만하임에서 배우고 비르나와 프라하에서 작곡하면서 교육에 종사했다. 프라하 음악원에는 비록 ..

즈데네크 피비히-교향곡 1번 in F major Op.17

즈데네크 피비히-교향곡 1번 in F major Op.17 Zdenek Fibich - Symphony No.1 in F major Op.17 (1877–1883) Neeme Järvi (cond) Detroit Symphony Orchestra 1. Allegro moderato 14:42 2. Scherzo. Allegro assai 4:28 3. Adagio non troppo (alla romanza) 5:50 4. Finale. Allegro con fuoco e vivace 9:19 즈데네크 피비히 즈데네크 피비히는 체코의 작곡가이다. 동 보헤미아의 프세보루지체에서 임무관의 아들로 태어나 프라하, 라이프치히, 파리, 만하임에서 배우고 비르나와 프라하에서 작곡하면서 교육에 종사했다. 프라하 음악..

카발레프스키 / 피아노협주곡 3번

Piano Concerto No.3 in D major, Op.50 카발레프스키 / 피아노협주곡 3번 Kabalevskii, Dmitrii Borisovich, (1904~1989) 1악장 (Allegro molto) 2악장 (Andante con moto) 3악장 (Presto) 카발레프스키 (Kabalevskii, Dmitrii Borisovich, (1904~1989)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생. 1925년 모스크바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아노를 A.골던바이저에게, 작곡을 N.Y.먀스코프스키에게 사사하고, 1932년부터 모스크바음악원 조교수 ·교수, 1951년부터는 소련 작곡가동맹 서기, 1966년부터는 소련 최고회의 간부회원 등으로 있었다. 피아니스트로서도 일류급으로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유럽 여러 곳에서..

비오티 / 바이올린협주곡 19번 G 단조

비오티 / 바이올린협주곡 19번 G 단조 Viotti / Violin Concerto No.19 in G minor Giovanni Battista Viotti 1755 ~1824 F ranco Mezzena, Violin Luciano Borin. Cond.Viotti Chamber Orchestra 1악장 (Allegro Maestoso) 2악장 (Adagio non Troppo) 3악장 (Presto) 지오반니 바티스타 비오티 (Viotti, Giovanni Battista, 1755 ~1824 )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작곡가. 피에몬테 출생. 비오티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 및 작곡가로, 현대 바이올린 연주의 아버지 라 할 수 있다. 음악가뿐만이 아니라 와인 사업가 등의 다채로운 삶을 살..

베토벤 / 현악3중주 G장조 Op.9-1

Beethoven, String in G Major, Op.9-1 베토벤 / 현악3중주 G장조 Op.9-1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I. Adagio/Allegro con brio II. Adagio, ma non tanto e cantabile III. Scherzo: Allegro IV. Presto 작품번호가 붙어 있는.. 현악 삼중주를 위한 베토벤의 작품은 모두 5곡이다. 작품 3은 6악장 형식의 오락음악 스타일로 현악삼중주곡이라기 보다는 삼중주를 위한 '디베르티멘토'에 가깝다. 따라서 현악삼중주에는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작품 8은 베토벤 자신이 세레나데라고 이름 붙인 관계로 보통 현악 삼중주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보면 작품번호가 붙어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