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onín Dvorák (1841∼1904) 34

드보르작 // 바이올린 소나타 G장조 op. 100 ' 인디언의 애가'

Sonatina for violin & piano in G major 드보르작 // 바이올린 소나타 G장조 op. 100 ' 인디언의 애가' ("Indian Lament"), B. 183 (Op. 100) Antonin Dvorak (1841 - 1904) Mischa Maisky, cello Pavel Gililov, piano 1. Allegro risoluto 5'31 2. Larghetto 5'30 3. Scherzo. Molto vivace 2'57 4. Finale. Allegro 6'23 드보르작은 부인과 6명의 아이들과 함께 있기를 좋아하였지만.. 미국의 국립 음악원 원장으로 초빙되자 망설임 끝에 가족들과 떨어져 살것을 결심하였다. 그러나 1893년 여름에는 드보르작의 고국에서 이민온 보헤..

드보르작 교향곡 6번

Symphony No.6 in D major, Op.60 Antonín Dvorák 1841∼1904 Sir Colin Davis, cond. London Symphony Orchestra 1. Allegro non tanto (15:22) 2, Adagio (12:15) 3. Scherzo: Furiant (08:01) 4. Allegro con spirito (10:39) 드보르작(Dvorak)의 교향곡은 제9번을 정점으로 제7번과 제8번이 걸작이고 가장 많이 연주-녹음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그의 초기 교향곡은 큰 인기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브람스의 교향곡 제2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제6번은 독립하여 감상할만한 곡이다. 드보르작다운 체코 민요풍 선율과 리듬이 고전적 틀 속에 아름답..

드보르자크 / 교향곡 3번

Symphony No.3 in Eb major, Op.10 드보르자크 / 교향곡 3번 Antonn Dvork (1841∼1904) 1악장 (Allegro moderato) 2악장 (Allegro molto, tempo di marcia) 3악장 (Allegro vivace) 드보르자크 Dvorak, Antonin Leopold (1841~1904) 여관과 정육점을 경영하는 아버지의 장남으로 프라하 근교 넬라호제베스에서 출생하였다. 16세 때에 가업을 계승시키려는 아버지의 뜻을 거역하고 프라하의 오르간학교에 입학하여 2년간 공부하였다. 이시기에 극장과 음악회를 다니며 베를리오즈와 리스트, 바그너의 음악을 감상하였다. 졸업후 레스토랑 등에서 비올라 주자로 생활하였고, 1862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 가설극장 관..

Dvorak - Romance for Piano and Violin,op.11

Antonín Dvorák (1841∼1904) Romance for Piano and Violin,op.11 협주곡중에서는 인기곡으로 오랜 세월을 군림하여 온 Dvorak의 Romance F minor 는 작곡자 스스로도 특별히 이곡을 좋아하였다고한다. 드보르작은 1873년에 자신의 살아 생전에 연주되는것을 한번도 들어볼 기회가 없었다는 현악 4중주 F mino를 작곡하였다 1877년에는 이 작품의 느린 악장을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작품으로 편곡하였고 곧이어 현제와같이 오케스트라와 바이올린을 위한곡으로 다시 편곡하여 Romance라 하였다 이작품의 우아한 멜로디에는 슬라브적인 멜랑코리한 분위기가 있으며 악기음들의 풍요성이 만들어 낸 음색이 시"와 같은 느낌이 있는곡이다 [Bochum:scholle/..

드보락(드보르작) 모음곡 작품 39 / Dvorak - Czech Suite Op.39

드보락(드보르작) 모음곡 작품 39 Dvorak - Czech Suite Op.39 John Eliot Gardiner NDR-Sinfonieorchester Composer Antonn Dvořk Gardiner 2006 in der St. Martinikirche zu Braunschweig I. Preludium (Pastorale) - Allegro II. Polka - Allegretto grazioso III. Sousedska (Minuetto) - Allegro IV. Romance - Andante con moto V. Finale(Furiant) - Presto Antonin Dvorak (1841-1904) 드보락은, 푸주간 겸 여관업을 하는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드보락은 가업을..

드보르작 / 현을 위한 세레나데 마장조

Serenade for String Orchestra in E major, Op.22 드보르작 / 현을 위한 세레나데 마장조, Op.22 Antonin Dvorak (1841-1904 ) "세레나데"는 사랑의 노래다 그래서 사람이 만들어낸 음악 가운데 가장 감미롭고 아름다운 음악가운데 하나라고 합니다 세레나데는 사랑에 빠진 연인을 위한 축복의 노래라고 하네요!.. 1. Moderato 2. Tempo di Valse 3. Scherzo-Vivace 4. Larghetto 5. Finale-Allegro vivace 세레나데(Serenade, 혹은 Sernata)란? 이태리어 세레나타는 "저녁의 음악"을 뜻한다. 독일어 세레나데도 그 의미가 같다. 원래 이 용어들은... 저녁에 연주한다는 의미 이상을 뜻하..

드보르자크(Antonín Dvorák) / 보헤미아의 숲에서"

From The Bohemian Forest, Op.68 드보르자크 / 보헤미아의 숲에서 Antonín Dvorák (1841∼1904) Statue of Dvořák in Stuyvesant Square Manhattan near the site of his house In The Spinning Room. Allegro Molto [D Major] Tatjana und Leonid Schick From The Bohemian Forest, Op.68 1. In The Spinning Room. Allegro Molto [D Major] 2. By The Black Lake. Lento [F Sharp Minor/ Major] 3. Walpurgis Night. Molto Vivace [B Flat M..

드보르작 현악 4중주 12번 Op.96 American

String Quartet No.12 F major, Op.96 American 드보르작 현악 4중주 12번 Op.96 American Anton Dvorak (1841~1904) Vivaca ma non troppo 제 2악장 Lento.Antiquarius Quartet Praga [작품의 개요 및 배경] 드보르작은 듣는 이의 가슴에 스며드는 수많은 명작을 남겼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인기가 높은 것은 그가 미국에 체재할 때 작곡된 것이 많다. 신세계 교향곡이나 첼로 협주곡 그리고 이 현악 4중주곡 제12번 아메리카를 들수있다. 이 4중주곡은 수법이 간결하지만 싱그러운 실내악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그 필치에 실내악 작가로서의 그의 면목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신세계로부터와 마찬가지로 미국 체재 중에 ..

드보르자크 / 인디언 애상곡 / Indian Lament

Indian Lament 드보르자크 / 인디언 애상곡 Antonn Dvork (1841∼1904) Composer Antonn Dvořk Violin Sonatina for violin & piano in G major - "Indian Lament" (인디언 애상곡) Yo-Yo Ma, Cello / Patricia Zander, Piano Flute Sonatina for violin & piano in G major "Indian Lament"(인디언 애상곡) [Indian Lament]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크라이슬러의 편곡에 의한 바이올린 곡. 'Indian Lament'는 원래 체코 작곡가 드보르자크(Anton Dvorak)가 작곡한 첼로 소나타 (Sonatina for Cello & piano ..

드보르작 / 교향곡 8번, 사장조 - Symphony No.8 in G major, Op.88

Symphony No.8 in G major, Op.88 드보르작 / 교향곡 8번, 사장조 Antonín Dvorák [1841∼1904] 1악장 (Allegro con brio) 2악장 (Adagio) 3악장 (Allegretto grazioso - Molto vivace) 4악장 (Allegro, ma non troppo) [작품 개요] 일명 England로 칭하는 교향곡 8번은 1889년에 작곡 되었으며 1895년에 작곡된 신세계 교향곡과 함께 그의 최고의 걸작이자 가장 사랑받는 두곡으로 작품 곳곳에 보헤미아의 깊은 정서가 베어 있다. 드보르자크가 영국에 첫발을 디딘 것은 1884년이다. 오라토리오 「스타바트마테르」op.58 이 연주되었을 때, 그는 그때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고국에 전했다. “청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