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78

아람 하차투리안-바이올린 협주곡 D 단조

Aram Chatschaturjan Violin Concerto in D minor Anatole Fistoulari(Cond)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Ruggiero Ricci(Violin) 아람 하차투리안-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아나톨 피스툴라리 (지휘) 런던 필 루지에로 리치 바이올린 연주 1.Allegro con fermezza 16:10 2.Andante sostenuto 12:22 3.Allegro vivace 10:32 아람 하차투리안(Aram Chatschaturjan) Komponist (1903~1978) 아람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은 아르메니아 출신의 작곡가로 진정한 보편성을 지닌 음악가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유네스코는 하차투리안을..

[Classic 창고] 2016.02.28

드보르작 / 로망스 드보르작 / 로망스 F 단조 Op.11

드보르작 / 로망스 F 단조 Op.11 Dvorak / 'Romance F minor' Op,11 협주곡 중에서는 인기곡으로 오랜 세월을 군림하여 온 드보르작 'Romance F minor' 는 작곡자도 이곡을 특별히 좋아하였다고 한다 드보르작은 1873년에 자신의 생전에 연주되는 것을 한번도 들어 볼 기회가없었다는 '현악 4중주 F minor를 작곡하였다 1877 년에는 이 작품의 느린 악장을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작품으로 편곡하였고 곧 이어 현재와 같이 오케스트라와 바이올린을 위한 곡으로 다시 편곡하여 'Romance'라 하였다 이 작품의 우아한 멜로디에는 슬라브적인 멜랑꼴리가 있으며 악기 음들의 풍요성이 만들어낸 음색의 詩와같은 느낌이 있는 곡이며 이 작품은. 1877년 12월 요제프 마르쿠스(..

생상 피아노 협주곡 제1번

Piano Concerto No.1 in D major, Op.17 생상 피아노 협주곡 제1번 Saint-Saens, Charles Camille (1835~1921) 1악장 (Andante-Allegro assai) 2악장 (Andante sostenuto quasi adagio) 3악장 (Allegro con fuoco) (Charles Camille Saint-Saens) 프랑스 음악을 부흥시킨 선구자로는 오페라의 구노와 기악의 생상을 들 수 있다. 생상은 1835년 10월 9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노르망디 지방의 농가 출신이고 어머니는 부유한 집안이었다. 부친을 일찍 여읜 생상은... 그림에 능한 모친과 훌륭한 피아니스트였던 고모 밑에서 자랐다. 음악에 대한 가르침은 고모에게서 받았는데 ..

하인리히 빌헬름 에른스트-바이올린 소협주곡 in D Major

하인리히 빌헬름 에른스트-바이올린 소협주곡 in D Major 드미트리 야블론스키(지휘) 러시안 필하모닉 일리야 그루베르트 연주 Heinrich Wilhelm Ernst-Concertino for violin orchestra in D major Op.12 Dmitry Yablonsky (cond) Russian Philharmonic Orchestra Ilya Grubert (Violin) 1. Allegro moderato 2. Adagio 3. Rondo: Allegro moderato (Heinrich Wilhelm Ernst)(1812~1865)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하인리히 빌헬름 에른스트(Heinrich Wilhelm Ernst)는.. 1814년 Morovia의 Brunn에서 태어났으며..

[Classic 창고] 2016.02.25

바실리 칼리니코프-교향곡 1번 G장조

Vasily Kalinnikov-Symphony No.1 in G minor 바실리 칼리니코프-교향곡 1번 G장조 Kirill Kondrashin(Cond) Symphony Orchestra of the Moscow State Philharmonic Vasily Sergeyevich Kalinnikov (1866~1901) 1.Allegro moderato 2. Andante commodamente 3. Scherzo. Allegro non troppo 4. Finale. Allegro moderato 1866년6월 13일에 오룔현(縣)의 보인이라는 마을에서 하급관리의 아들로 태어나, 그 무렵의 많은 음악가들과는 달리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라났다. 그 지방에 있는 신학교 합창단에 참가하고, 14세 때에 ..

레오폴드 호프만 / 플룻협주곡 G장조 (Badley_G2)

[장조와 단조의 이해 ] 장음계와 단음계 장음계는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음계에서처럼 주로 '도, 미, 솔' 중 어느 한음으로 시작하여 '도'로 끝나는 음계를 말합니다. 미,파(3,4) 와 시,도(7,8)사이가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음계란 위 장음계의 으뜸음인 도에서 3도 내린 음부터 시작하는 음계를 [단음계]라고 합니다. 즉, 3도 내리면; 도-시-라; ’라’에서 시작하는 음계를 말합니다. '라, 도, 미'의 세음 중 어느 한 음으로 시작하여 '라'음으로 끝을 맺습니다. [라-시,도-레-미,파-솔-라] 여기에서 보면 시,도(2,3번) 와 미,파(5,6번)음 사이가 반음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장음계는 ‘도’부터 시작하는 음계이며 3,4 7,8번 음 사이가 반음인 음계를 말합니다. ..

비버 / 로사리오 소나타 1번 -기쁨의 신비

Heinrich Ignaz Franz von Biber, (1644∼1704) The Rosary Sonata No.1 Joyful Mysteries -'The Annunciation' 비버 / 로사리오 소나타 1번 -기쁨의 신비 1악장 Praeludium 2악장 Aria 3악장 Finale 탁월한 실력의 바이올린 연주자, 개성이 넘치는 작곡가로 17세기 후반을 풍미했던 바로크 음악가 하인리히 비버(Heinrich Ignaz Franz von Biber)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묵주 소나타][미스터리 소나타]로 불리며 가톨릭교회 묵주 봉헌의식을 위해 작곡되었다. 묵주, 즉 Rosario는 `장미의 화관'을 뜻하는데 예수와 성모 마리아의 생애에 얽힌 기쁨, 고통, 영광을 나타내는 미스터리 행적을 관조하는 ..